
[블록체인투데이 정주필 기자] 이재명 정부가 출범 이후 디지털자산 산업에 대한 전향적인 정책을 펼치면서, 그동안 경영난에 시달려온 중소 가상자산사업자(VASP)의 기업 가치가 빠르게 재평가되고 있다. 특히 원화마켓을 보유하지 못한 중소형 VASP 사업자들이 최근 투자자들 사이에서 높은 관심을 받으며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와 여당은 최근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자산기본법’과 ‘디지털자산 혁신성장법’ 등이 국회에 발의되면서, 민간 주도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제도권 내로 편입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국부 유출 방지와 디지털 경제 주도권 확보를 강조하며, 해당 시장 육성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산업 전반에 기대감이 퍼지고 있으며, 특히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실질적인 발행 주체가 될 수 있는 등록된 VASP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과거에는 엄격한 규제와 한정된 수익모델로 인해 중소 VASP 사업자 다수가 자금난에 시달려왔지만, 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와 제도권 진입 가능성으로 인해 기업 가치가 재조명받고 있다. 일부 중소 VASP는 인수합병(M&A) 대상으로 거론되거나, 신규 투자유치 협상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정책 변화가 한국 디지털자산 시장의 전환점을 예고하는 계기라고 평가하고 있다. 다만, 중소 VASP들이 실제로 제도권 내에서 안정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자본력 확보와 컴플라이언스 체계 구축 등 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함께 나온다.
이처럼 이재명 정부의 친 가상자산 정책과 원화 스테이블코인 허용 기조는 침체됐던 국내 중소 VASP 시장에 다시 한 번 성장의 불씨를 지피고 있다. 하지만 기대만큼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제도적 조율이 수반되지 않으면, 일시적인 투기 과열로 끝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info@blockchain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