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투데이 이아름 기자] 필리핀 상원의원 밤 아키노(Bam Aquino)가 국가 예산을 블록체인에 기록해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는 법안을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8일(현지 시각) 코인텔레그래프는 필리핀 현지 매체 비즈니스월드를 인용하여 아키노 의원이 앞으로 몇 주 내 해당 법안을 발의할 예정이며, 정부 예산과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플랫폼에 통합해 더 높은 수준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보도했다.
아키노 의원은 최근 열린 마닐라 테크 서밋 2025(Manila Tech Summit 2025)에서 “기술이 정부의 책임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블록체인 기반 예산 관리에 대해서도 직접 언급했다. 그는 개인 페이스북 게시글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예산 혁신을 통해 모든 페소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투명하고 책임 있게 관리할 수 있다”며, “국민이 정부 지출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블록체인을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필리핀에서는 이미 블록체인 도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지난 7월 말, 필리핀 정부는 폴리곤(Polygon) 네트워크 기반의 블록체인 문서 검증 시스템을 출범시켰으며, 이는 2023년 정보통신기술부와 블록체인 필리핀 협의회(BCP)가 체결한 협력 관계의 연장선상에 있다. 당시 BCP 창립자 도널드 림(Donald Lim)은 “필리핀이 아시아의 블록체인 허브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 바 있다.
정부 차원의 블록체인 도입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미국에서는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 상무장관이 국내총생산(GDP) 등 경제 통계를 온체인으로 공개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와 유사하게 뉴저지주 카운티는 2,400억 달러 규모의 부동산 등기를 토큰화했으며, 뉴욕주 의회 의원은 블록체인이 유권자 기록과 선거 결과 보호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인도에서도 한 지방정부가 195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모든 토지 기록을 아발란체(Avalanche) 블록체인에 저장했다.
또한 지난달 베트남 정부는 금융, 행정 등 다양한 부문에서 디지털 거래 및 기록을 검증할 수 있는 국가 블록체인 플랫폼을 정식으로 출범시키며 블록체인 도입에 나섰다.
info@blockchain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