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투데이 이아름 기자] 파키스탄이 국제 암호화폐 기업들을 자국 시장에 초대하며, 새로운 연방 규제 체계 하에서 운영 라이선스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14일(현지 시각) 코인텔레그래프는 현지 매체 던 보도를 인용하여 파키스탄 가상자산 규제청(PVARA)이 지난 13일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와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업체(VASP)에 ‘사전 관심표명서(Expressions of Interest, EoI)’ 제출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빌랄 빈 사키브(Bilal bin Saqib) PVARA 청장 겸 암호화폐·블록체인 담당 국무장관은 “이번 EoI는 세계 선도적인 VASP 기업들에게 파키스탄의 투명하고 포용적인 디지털 금융 미래를 함께 구축하자는 초청”이라고 밝혔다.
자격 요건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영국 금융행위감독청(FCA), 유럽연합(EU)의 VASP 프레임워크, 아랍에미리트(UAE) 가상자산 규제청, 싱가포르 통화청(MAS) 등 공인 규제 당국에서 이미 허가를 받은 기업들로 제한된다.
파키스탄은 엄격한 진입 기준을 마련했다. 제출 서류에는 기업 프로필, 기존 라이선스와 관할 구역, 제안 서비스(거래, 커스터디, 결제 등), 기술 및 보안 표준, 운용 자산 규모, 매출, 규제 준수 이력, 그리고 파키스탄 맞춤형 비즈니스 모델이 포함돼야 한다.
PVARA는 "이번 프레임워크가 불법 금융을 억제하는 동시에 핀테크, 송금, 토큰화 기회와 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샤리아(이슬람 율법) 준수 상품 개발을 열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상자산 규제청은 2025년 제정된 가상자산 조례에 따라 설립됐으며,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의 기준에 맞춰 VASP를 허가, 규제, 감독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info@blockchain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