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국내뉴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종합 금융사' 향한 사업 확장 본격화

디지털뉴스팀

승인 2025-09-22 09:11:00

[블록체인투데이 디지털뉴스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부터 블록체인 플랫폼까지 출시하며 사업을 다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단순 거래 중개를 넘어 종합 금융사로 도약하는 모습이라고 뉴스1이 보도했다.

4대 거래소 모두 '코인 대여' 출시…신규 서비스로 사업 다양화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4대 가상자산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는 모두 '코인 대여' 서비스를 출시했거나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이달 초 금융당국이 코인 대여 서비스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정비한 만큼, 해당 가이드라인에 맞춰 영업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코인 대여 서비스를 통해 거래소는 그간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거래 수수료뿐 아니라, 은행의 예대마진처럼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다.

코인원은 지난 15일 당국 가이드라인에 맞춰 '코인 빌리기' 서비스를 출시했다. 당국은 담보 가치를 초과하는 대여, 즉 레버리지를 활용한 서비스는 이용자 피해 위험이 크다는 것을 근거로 금지했다. 이에 코인원은 최소 담보금 5만원부터 담보금의 82%까지 가상자산을 대여할 수 있으며, 인당 3000만원 한도 내에서 대여가 가능하도록 했다.

지난 7월 코인 빌리기 서비스를 출시한 업비트도 당국 가이드라인에 맞춰 서비스 내용을 수정했다. 마찬가지로 담보금의 80%까지만 가상자산을 빌릴 수 있도록 했다. 담보금 한도 기존 5000만원에서 3750만원으로 줄였다.

빗썸은 당국 가이드라인에 맞춰 서비스를 수정하고 있다. 앞서 빗썸은 지난 7월 가상자산 또는 원화를 담보로 최대 4배까지 가상자산을 대여하는 서비스를 내놨다가, 금융당국 행정지도 이후 레버리지 비율을 2배로 낮춘 바 있다. 현재는 가이드라인이 나온 만큼, 레버리지를 없애는 등 내용을 수정해 곧 공지한다는 방침이다.

4대 거래소 중 유일하게 코인 대여 서비스를 출시하지 않은 코빗도 출시를 준비 중이다. 코빗 관계자는 "코빗도 코인 대여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라며 "구체적인 출시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레이어2 블록체인도 개발… 코인베이스 '베이스' 등 선례 있어

코인 대여 서비스뿐 아니라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 역시 거래소들이 새로운 수익원으로 낙점한 사업이다.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거래량이 늘어나면, 블록체인상 수수료 등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이미 해외 대형 거래소들이 성공적으로 이어가고 있는 사업이기도 하다.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는 레이어1 블록체인인 'BNB체인'을, 미국 최대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레이어2 블록체인 '베이스'를 개발해 매출을 올리고 있다.

코빗은 올해 초 블록체인 기술 기업 오지스와 합작 법인을 설립하고 이더리움 레이어2 블록체인인 '실리콘'을 개발했다. 최근에는 지난 7월을 기점으로 실리콘 기반 거래량이 전달 대비 20배 늘어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최근 개최한 '업비트 D 개발자 컨퍼런스(UDC) 2025'에서 이더리움 레이어2 블록체인 '기와(GIWA)' 출시를 발표했다. 이미 업비트 거래 수수료라는 고정 수익원이 있지만 두나무는 기와체인으로 수익 다각화를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레이어2 블록체인 프로젝트들과의 차별화 전략으로는 업비트와의 연동을 내세웠다. 또 '기와'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도 선점할 것을 시사했다.

이처럼 거래소들이 사업을 다양화하면서 단순 가상자산 거래 중개 플랫폼이 아닌, 종합 금융사로 도약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양현경 iM증권 연구원은 "가상자산 거래소는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한 파생상품, 커스터디, 결제, 대출, 토큰화 증권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통 금융업의 핵심 수익원들을 위협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 코인베이스와 비슷한 사례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양 연구원은 "코빗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의 가상자산 거래소의 수익이 거래수익(98%), 기타(2%)로 가상자산 거래소의 수익 다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은 상황"이라면서도 "코인베이스의 경우 거래수익(51%), 스테이블 코인(22%), 블록체인 리워드(14%). 대출 및 이자(6%), 상장지수펀드(ETF) 및 구독(8%)으로 수익 다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결국 가상자산 거래소의 사업 다변화는 은행,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의 전통 금융 중개기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info@blockchain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