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투데이 한지혜 기자] 아랍에미리트(UAE)가 암호화폐 과세 데이터를 자동으로 교환하는 글로벌 체계에 동참한다.
22일(현지 시각)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UAE 재무부는 암호화폐 과세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다자간 권한 당국 협정(MCAA)에 서명하고, OECD가 마련한 암호자산 보고 프레임워크(CARF)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CARF는 참여국 간 암호자산 활동과 관련된 세금 정보를 자동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해 투명성과 세무 준수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협정 체결로 UAE는 국제 기준에 맞춰 암호화폐 과세 자동 교환 협정에 합류했다.
재무부에 따르면 UAE는 2027년 CARF를 본격 시행하고, 2028년부터는 실제 정보 교환을 시작할 예정이다.
UAE는 제도 도입에 앞서 업계 의견 수렴 절차에 착수했다. 이번 공청회는 9월 15일 시작돼 11월 8일까지 진행되며, 거래소, 수탁사, 트레이더, 자문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피드백을 받는다.
현재까지 뉴질랜드, 호주, 네덜란드 등 50여 개국이 CARF 도입 의사를 밝혔으며, 글로벌 차원의 암호화폐 세금 보고 체계 구축이 가속화되고 있다. 스위스는 지난 6월 암호화폐 세금 정보를 74개 파트너국과 자동 공유할 수 있도록 법안을 채택하며 발 빠르게 움직였다.
한국도 CARF 참여국으로 합류했다. 이달 1일 한국 기획재정부는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및 국제기구와 협력해 세금 정보를 자동 공유하는 협정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규제 당국은 글로벌 정보 교환 체계 참여와 동시에 세금 체납자의 암호화폐 자산 단속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 8월 17일 제주시는 세금 회피 의심 사용자들의 암호화폐 자산을 동결·압류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hjh@blockchain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