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투데이 정주필 기자] 사단법인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이사장 김형주, 이하 KBIPA)는 2025년 9월 22일(월)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민병덕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주최한 “Global Blockchain Forum—Republic of Korea 2025” 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고 밝혔다. 본 행사는 글로벌 블록체인 투자사 엘뱅크랩스(LBank Labs)가 전략적 파트너로 참여하여, 전 세계 블록체인 혁신가들과 국내외 주요 인사, 산업계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의 새로운 발전 방향과 미래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계기가 되었다.
행사를 주최한 민병덕 국회의원은 이날 개회사에서 “AI가 지성의 방식을 바꾸고 있다면, 블록체인은 신뢰의 방식을 다시 쓰고 있다”며, 실물자산(RWA)의 디지털화가 금융의 판도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미래 금융을 ‘RWA + STO(증권형 토큰) × 스테이블 코인’이라는 수식으로 정의하고, 투자자 보호와 산업 혁신을 동시에 담아내기 위한 ‘디지털자산 3법’(디지털자산 기본법, 현물 ETF법, 토큰 증권 STO법) 발의 배경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원스코’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달러 중심 시장 속 대한민국 금융주권을 지키고, K-콘텐츠·K-의류 등과 결합해 글로벌 경제 기회를 창출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행사를 공동 주최한 (사)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김형주 이사장은 “블록체인 분야는 국경 없는 글로벌 사업영역”임을 언급하며, “이번 포럼이 한국과 세계 전문가 간의 격차를 줄이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해외 거래소의 투자 환경을 면밀히 살피고 해외 전문가들의 조언을 귀담아들여야 한다”며 글로벌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축사에 나선 김종민 국회의원은 “AI와 웹3라는 두 축이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것”임을 강조하며, “블록체인은 중앙집권적 방식이 아닌 새로운 연결을 통해 파편화된 디지털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블록체인이 산업 전반과 인간 간 초연결 시대를 이끌 핵심”임을 강조, 국회 차원의 뒷받침을 약속하였다.
김희정 국회의원은 축사를 통해 “국회에서 블록체인 관련 법안이 많이 발의됐지만, 의원들의 개념 이해도가 부족한 상황”임을 지적하며, “10년 넘게 이 분야에 헌신한 전문가들의 노력으로 디지털 자산 관련 법안이 여야를 떠나 반드시 잘 될 것”이라며 힘을 실어줬다.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김상민 대표도 축사를 통해 2014년 ‘오픈뱅킹’ 등 금융 혁신 사례를 소개하며 “오늘 포럼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여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얏 시우 회장(Animoca Brands 공동창업자 겸 회장)은 “블록체인과 실물자산토큰화(RWA)의 등장은 이전에는 자산이 될 수 없던 게임 아이템, IP 등도 NFT 등 토큰화 기술로 실제 소유할 수 있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토큰화와 웹3는 금융 문해력을 높이고, 디지털 재산권의 확립이 국가 성장의 핵심”임을 강조하며, “디지털 자산을 재산권으로 인정해야 국가 경제 번영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 모카ID 및 NFT 멤버십 등 혁신 사례를 통해 웹3 실질 적용 방안을 소개했다.
국내 연사로는 한정석 교수(서울대학교), 차상진 변호사(법률사무소 비컴), 윤민섭 교수(숭실대학교), 강태홍 상무(대홍기획), 이성미 대표(CODE) 등이 연사로 참여했다.
한정석 교수는 “블록체인은 투자자들에게 투명성과 개방성, 접근성을 제공하고, 분산원장을 통해 중개기관 의존도를 낮추며 거래 비용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ETF, 토큰화 자산 등 브릿지 기술로 온체인·오프체인 유동성 통합이 가능하지만, 산업별 분절화를 극복할 종합적 정책 접근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차상진 변호사(법률사무소 비컴) 발표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현물 ETF, 토큰증권은 금융접근성을 높이고,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무역결제 등 실물경제 파급력이 크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ETF는 투자자들의 다리 역할을 하며, 역외유출 완화, 회계 투명성 제고, 산업 연계 투자·고용 활성화 효과까지 기대된다”며, “토큰증권 시장은 맞춤형 상품과 글로벌 투자 유치 기회를 확대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윤민섭 교수(숭실대학교)는 “한국은 지역 차이 없이 전국적으로 수준 높은 디지털 서비스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며, “이미 많은 국내 사업자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반 자산 발행이 활성화된다면, 한국의 디지털 서비스가 글로벌 시장까지 확장될 수 있다”고 전망하였다. 아울러 “스테이블코인 특화 법안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민병덕 의원이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과 같은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적 법률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제도적 정비가 곧 국가 경쟁력”임을 강조했다.
강태홍 상무(대홍기획)은 “K-콘텐츠, 패션 등 한국 강점 산업과 블록체인·토큰화 기술이 결합하면 글로벌 경제적 기회가 확대된다”고 설명하며, “마케팅, 콘텐츠 유통, 브랜드 가치 증대 등 실질적 부가가치 창출 현황”을 소개하였다.
이성미 대표(코드)는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의 실질적 대중화와 신뢰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투명한 데이터 흐름과 규제 준수가 필수적”임을 강조하였다. “CODE는 국내외 주요 거래소와 협력해 Travel Rule(트래블 룰) 등 국제 자금세탁방지(AML) 기준을 준수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며, “이러한 컴플라이언스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글로벌 자본과 산업이 안심하고 한국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규제와 혁신의 균형 속에서,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투명한 디지털 자산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어 진행된 이번 포럼에는 해외측 주요 인사인 Yat Siu 외에도 Czhang Lin(LBank Labs 대표), Jeremy Millar(Theoriq Foundation 이사장), Raullen Chai(IoTeX CEO), 그리고 Solana, Tether, Berachain, Abstract, Manta Network, Aethir, Layerzero 등 세계적인 Web3 프로젝트 및 기업의 주요 인사들이 연사로 참여했다.
이번 행사는 엘뱅크랩스(LBank Labs)가 전략적 파트너 참여함으로써, 글로벌 Web3 프로젝트, 대기업, 공공기관, 디지털자산 프로젝트 리더 등 국내외 전문 인사들과의 심도 있는 네트워킹 및 협력의 장이 마련되었다. 규제 프레임워크, 인프라 구축, 웹2-웹3 융합 전략, AI-블록체인 결합, 스테이블코인과 디지털 자산 혁신 등 다양한 주제로 현장 토론이 진행되었다. 창린(Czhang Lin)대표는 “토큰화는 실물자산과 디지털 자산의 경계를 허물고, Web3와 전통 금융의 융합을 가속화하는 핵심”이라며, 한국이 실물자산토큰화(RWA)와 디지털 자산 시장의 선도 국가로 성장할 잠재력을 높이 평가했다.
이번 포럼은 대한민국이 디지털 금융 허브와 실물자산토큰화(RWA) 선도국가로 도약할 구체적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로, 김형주 이사장은 “(사)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는 앞으로도 글로벌 네트워크와 정책·산업계의 협력을 통해 블록체인 산업 발전과 제도적 환경 개선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하였다.
info@blockchain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