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국내뉴스

국힘, 가상자산 정책 '특별위원회' 구성한다… 김상훈 위원장 내정

디지털뉴스팀

승인 2025-09-29 11:40:00

[블록체인투데이 디지털뉴스팀] 뉴스1에 따르면 국민의힘이 주식·가상자산 관련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당 대표 직속의 특별위원회를 띄운다.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준 완화 등 주주 친화적 정책을 통해 1400만 명에 달하는 개인 투자자를 비롯해 20대 가상자산 투자자의 민심을 얻겠다는 구상이다.

29일 야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주식·가상자산 밸류업 특위(가칭)' 설치안을 의결한다.

특위 위원장에는 김상훈 의원이 내정됐다. 4선 중진인 김 의원은 정책위원장을 역임한 정책통이다. 지난 6·3 대통령 선거 당시 당의 대선 공약을 총괄한 바 있다. 지난 국회에서 기획재정위원장을 거쳐 현재 정무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세제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뛰어나다는 평가다.

특위는 주식, 가상자산 투자자들을 위한 실용적인 정책을 대거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주식 분야에서는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준 완화, 가상자산 분야에서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등이 거론된다.

장동혁 대표 등 당 지도부도 이날 오후 금융투자협회를 찾아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준 완화 필요성 등 개인 투자자 특화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의지를 밝힐 것으로 전해졌다.

당 지도부가 개인 투자자에 집중하려는 건 그들이 가진 '정치적 위치' 때문이다. 투자자 상당수가 민주당의 핵심 지지층(40~50대·수도권 거주자)과 겹친다는 점에서, 이들의 지지를 얻는 것이 여당 견제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상장 주식 소유자 중 개인투자자는 전체 1422만 6381명 중 99.1%에 해당하는 1409만 8359명이다. 이중 50대가 316만 2000여명으로 전체의 22.4%, 40대가 312만 2000여명(22.1%), 30대 265만 5000여명(18.8%)이다.

개인·법인 투자자의 지역별 현황을 보면 경기도가 373만 3000여명(26.4%)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시가 341만 2000여명(24.1%)으로 뒤를 이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특위 출범이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전략적 빌드업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40~50대 개인 투자자들은 실리를 중시하는 성향이 강해, 이들을 포섭하는 것만으로도 중도 외연 확장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굳이 '중도'라는 표현을 쓰지 않더라도 이들을 위한 실용적 정책만으로도 중도층 공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잖아도 국민의힘의 내년 지방선거 1순위 목표는 '서울시장 사수·경기도지사 탈환'이다.

당 지도부는 특위 설치를 시작으로 연휴 전까지 민생 행보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전날 서울 장외 집회에 필리버스터에 이르기까지 대여 공세에 집중해 온 만큼, 연휴까지 남은 기간 민생에 집중하겠다는 장 대표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info@blockchain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