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투데이 디지털뉴스팀] 뉴스1에 따르면 송기명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상무는 거래시간 연장 추진 배경에 대해 "블록체인에 기반해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 상장지수펀드(ETF)의 토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며 "거래소로서는 직접적인 유동성 유출의 잠재적 위협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송기명 상무는 29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 자본시장 콘퍼런스 2025'(KCMC 2025)에서 "거래소는 가상자산 그 자체가 아니라 가상자산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에 집중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실제 테슬라 등 미국 주식을 토큰화해서 거래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일평균 거래대금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며 "이는 한국거래소뿐만 아니라 글로벌 거래소 전체에 잠재적이고 직접적인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글로벌 거래소 사이에서 유동성을 가져가기 위한 쟁탈전이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 거래시간 연장을 추진하고 있는 동인이고, 국내 대체거래소(ATS)를 통해 투자자의 거래 수요를 직접적으로 확인했다"고 했다.
다만 거래 방식에 대해선 "하루 12시간으로 운영하고 유동성과 시장 효율성을 고려해서 24시간 거래 체계로 전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나스닥 거래소 등 글로벌 거래소처럼 곧바로 24시간 거래 체제를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하루 12시간 거래를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거래 시간을 늘리겠다는 구상이다.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전 세계가 24시간 거래를 시작하면 지역별 시차 효과가 없어지고 '글로벌 유동성 무한 경쟁 시대'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다만 "거래 시간을 지금처럼 제한해서 시장 접근성을 제약하고 스스로 경쟁력을 제한하는 게 맞지는 않는 거 같다"며 "거래시간 연장 트렌드를 따라가면서 글로벌 유동성을 신규 유치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열린 콘퍼런스에선 국내외 주요 기관투자자, 증권·운용 등 업계 관계자, 일반투자자 등 1000여명이 한자리에 모여 한국 자본시장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한편 코스피가 5000포인트를 가뿐히 넘어설 수 있다는 전문가 진단도 나왔다.
믹소 다스(Mixo Das) JP모건 한국 주식 전략 총괄은 '코스피 5000 시대를 위한 과제'를 주제로 진행한 패널 토론에서 "코스피는 5000포인트를 쉽게 달성할 수 있고 그 이상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금리 인하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고 이는 한국 시장을 포함해 전 세계에 호조로 작용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어닝 사이클 측면에서 글로벌 경제가 좋기 때문에 수출을 많이 하는 한국 기업에 호조가 될 수 있어 주식 시장은 더 활황일 것이고 상법 개정 등 정부 정책이 긍정적으로 바뀌면 신뢰가 증가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함께 패널 토론에 참여한 김동원 KB증권 리서치센터장도 "강세장 흐름이 지속돼 내년 상반기 코스피는 4000포인트 돌파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역시 "4000포인트까지는 기업의 배당 성향이 올라가면서 이른 시일 내에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고 5000포인트는 우리나라 주식 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올라가야 달성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info@blockchain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