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투데이 정주필 기자] 블록체인 기반 인프라 기업 위즈클라쓰(Wizclass Inc., 대표 김주원)가 자체 개발한 POA(Proof of Authority) 기반 블록체인 테스트넷 구축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위즈클라쓰가 독립적인 블록체인 기술력을 확보하며, 향후 실생활 결제 및 실물자산 토큰화(RWA, Real World Asset) 생태계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기술적 자립의 신호탄으로 평가받는다.
위즈클라쓰가 구축한 POA 테스트넷은 신뢰 가능한 검증자(Authority)가 합의를 주도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기존 PoW(작업증명)나 PoS(지분증명) 방식 대비 거래 처리속도(TPS)와 수수료 효율성 면에서 월등한 성능을 보인다.
회사 측은 "좋은 서버 환경에서 초당 수천 TPS 이상 처리가 가능하며, 실생활 결제 서비스나 NFT 리워드 시스템 등 상업 환경에 즉시 적용 가능한 수준의 안정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위즈클라쓰는 이번 POA 체인을 핵심 기반으로 자사 주요 RWA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굿네트워크(Good Network, GNW) 코인과의 상생 생태계를 본격화한다. GNW는 실물경제와 연계된 결제, 리워드, 기부 중심의 유틸리티 코인으로, 위즈클라쓰의 메인넷을 통해 더욱 빠르고 투명한 거래 환경을 제공받게 된다.
양측은 GNW 코인의 결제 수수료 절감, 메인넷 노드 간 협력 검증 구조 도입, 블록체인 기반 후원·보상 프로그램의 통합 운영 등을 통해 기술적·운영적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김주원 위즈클라쓰 대표는 “위즈클라쓰는 자체 메인넷을 기반으로 GNW 코인과 함께 ‘실생활에서 돌아가는 블록체인’을 실현할 것”이라며, “POA 기술은 복잡한 합의 과정 대신 신뢰 기반의 빠른 검증을 가능하게 해, 결제·리워드·후원과 같은 일상경제형 블록체인 생태계의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즈클라쓰는 이번 테스트넷 결과를 바탕으로 2025년 내 메인넷 정식 버전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후 GNW 코인 결제 플랫폼, NFT 리워드 시스템, 파트너 노드 프로그램 등 연계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출시하며 Web3 기반의 글로벌 블록체인 허브로 성장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info@blockchaintoday.co.kr